<2015> 제도와 불안전고용
Ⅰ. 서론Ⅱ. 불안전고용의 다양성과 이론적 논의Ⅲ. 불안전고용의 세부 형태들Ⅳ. 방법론적 과제들과 남아 있는 문제들Ⅴ. 요약 및 결론
<2015> 표준고용관계의 쇠퇴와 새로운 규제적 접근의 필요성
Ⅰ. 들어가며Ⅱ. 표준고용관계의 등장과 제도화Ⅲ. 고용체제의 전환 : 표준고용관계의 쇠퇴와 불안정 고용관계의 성장Ⅳ. 고용체제 전환의 특성과 증거들Ⅴ. 과제 : 노동시장 규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2015> 이동노동자지원센터의 의미와 과제
1. 대리운전기사의 노동실태와 특성2. 이동노동지원센터의 의미와 과제3. 이동노동쉼터의 운영 방향에 대하여4. 맺음말
<2015> 여성봉제노동자 건강문제와 논의과제
1.? 들어가며2.? 여성봉제노동자? 이슈와? 한국적? 맥락3.? 생애주기에? 대한? 고려4.? 시간압박과? 봉제노동자의? 건강5.? 나가며
<2015> 청년고용의 대안과 서울시 청년수당의 의미
Ⅰ. 들어가는 말Ⅱ. 청년고용의 암울한 현실 : 일을 못해서 미래가 없고, 일을 해도 전망이 없다Ⅲ. 기존 청년실업 대책의 평가Ⅳ. 고용정책 대안 : 노동시장의 구조변동을 유도하는 청년 실업대책Ⅴ. 서울시 청년수당의 의미와 발전과제Ⅵ. 맺는 말
<2015> 감정노동해법, 이대로 충분한가?
1.? 들어가며2.? 감정노동에? 접근하는? 다양한? 움직임3.? 공·사? 구분없는? 악성고객,? 취약한? 고용과? 허술한? 보호의? 늪4.? 정부의? 대책과? 평가5.? 서울시? 가이드라인의? 실효성? 확보? 방안6.? 과연? 이대로? 충분한가?7.? 맺으며
<2015> 통계로 본 서울의 노동 : 산업구조, 고용구조, 취약노동자 구조
[인포그래픽스:? 통계로 보는 서울의 노동] [해설과 요약]Ⅰ.? 서울의 산업구조 1. 서울의 지역총생산 2. 사업체와 종사자 3. 사업체 규모와 기업체 규모 Ⅱ.? 서울의 고용구조 1. 경제활동인구 2. 고용률과 실업률 Ⅲ.? 서울시 취약계층 노동자 구조 1. 비정규직 노동자 2. 중소영세업체 노동자 3. 속성별 취약노동자 4. 실업자 5. 임금체불로 본 취약노동자
<2015> 아파트 노동자 지원방안 연구
목 차연구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구성 3.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2) 면접조사 3) 연구 진행 일정 Ⅱ. 선행연구 및 서울시 아파트 현황 1. 선행연구 검토 1) 경비노동자 관련 연구 2) 청소노동자 관련 연구2. 공동주택 현황 3. 아파트 노동자 고용특성 1) 아파트 고용구조의 특성2) 경비노동자 직무 특성3) 미화노동자 직무 특성Ⅲ. 실태조사 결과 분석1. 아파트 경비노동자 실태조사결과1) 응답자의 특성 2) 근로계약관계 3) 근무 및 휴식4) 임금 지급과 업무 체계 5) 아파트 경비방식과 경비인력 6) 산업재해와 건강문제 7) 고충과 만족도2. 아파트 청소노동자 실태조사결과1) 응답자의 특성 2) 근로계약 관계3) 근무 및 휴식4) 임금지급과 업무 체계 5) 산업재해와 건강문제6) 고충과 만족도 3. 소결 Ⅳ. 아파트 노동자 지원방안1. 아파트 노동자 고용안정성 확보1) 간접고용과 사용자성에 관한 법적 검토2) 아파트 관리방식 전환 검토3) 고령 노동자 고용 촉진법 활용2. 임금체계와 근무체제 개선1) 최저임금 준수, 생활임금제 도입2) 교대제 개선안3) 구속시간․휴게시간 구분 강화를 통한 휴식 보장4) 감시단속적 근로 승인의 절차 정비 3. 휴게 공간 개선 1) 현행 휴게실 설치 규정의 보완2) 지역사회의 휴게실 개선 사례3) 휴게실 개선안과 적용4. 아파트 노동자와 입주민 간 상호호혜적 관계 구축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경비노동자 설문지[부록 2] 청소노동자 설문지
제4회 노동권익포럼(2015-4) 비정규직 규모·실태와 불안정 노동개념에 대한 검토
○ 일시 : 2015년 12월 28일(화) 15:00○ 장소 : 서울노동권익센터 교육실○ 발표 - 통계로 본 비정규 노동자 : 박종식 (연세대) - 외국사례로 본 5대 법안 개편안 평가 : 김성희 (서울노동권익센터) - 제도와 불안전(비표준) 고용_불안전 고용의 다양성과 확산의 국제비교, 주요 쟁점과 과제 : 이철 (서울노동권익센터)○ 토론 - 이정아 (이화여대) - 김수현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2015-12-14 2015 노동권익 증진활동 지원 공모사업 보고서
1. 2015 노동권익 증진활동 지원 공모사업 소개 (서울노동권익센터)2. <서울지역 방과후강사 실태조사>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3. <관악지역 청년 심야노동 실태조사> (리빙액트)4. <일하는 도봉구 여성들의 건강체조교실> (서울일반노조 도봉구지부)5. <알바 권리찾기 ABC> (알바상담소)6. <뷰티서비스산업 종사자 근로실태조사> (여성노동법률지원센터)7. <감정노동 활짝! 감정노동자 권익증진사업> (우리동네노동권찾기)8. <인쇄인 절대공감 미래비젼 프로젝트> (인절미)
서울시 공공부문 감정노동자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요약>최근 항공, 통신, 병원, 유통, 은행, 호텔, 아파트, 택배 등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을 가리지 않고 감정노동 문제가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음. 특히 서울시 120다산콜센터 사례(서울시 인권위원회 권고, 2014.2.5)를 통해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감정노동 문제는 민간부문의 노동문제가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예외가 아님.실제로 서울시 공공부문(공무원 민원행정 업무, 서울의료원, 세종문화회관, 서울대공원, 지하철, 시립 박물관 및 미술관, 상수도 교체 및 검침, 120다산콜센터 및 글로벌콜센터, 민간위탁 사회복지 및 보육시설 등)의 주요 업무 또한 대표적인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음. 이처럼 감정노동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서울시 차원에서도 감정노동 문제를 해결할 시기가 되었음.서비스 노동과정의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인 감정노동은 이전의 제조업 육체노동과는 다른 공간(front)에서 일(work)을 하고 있다는 것에 착목해야 함. 감정노동은 개별 노동자가 고객, 제3자와의 대면 서비스(face-to-face) 혹은 전화 응대 서비스(voice-to-voice)를 통해 고객과의 상호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것임.
제2회 정기토론회(2015-2) 노동의 시작, 청소년 노동인권은 안녕한가요?
○ 일시 : 2015년 11월 27일(금) 15:00○ 장소 :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20호○ 발표 - 서울의 청소년 노동인권, 현황과 과제 : 류한승 (서울노동권익센터 교육홍보팀장) - 일하는 청소년의 유형분석과 정책지원방안 :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의 쟁점과 개선방안 : 진숙경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토론 - 송유나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사무관) - 박종훈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교육센터 사무관) - 이희신 (서울시 노동정책과 노동정책팀장) - 하인호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교사,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 이응 (청소년 노동자, 활동가)